본문 바로가기
부의 심리학

무자본창업의 핵심, 콘텐츠사업과 콘텐츠 만드는 비법

by genie_us 2022. 12. 17.
반응형

1. 콘텐츠 사업이란

콘텐츠는 사전적 의미로 인터넷이나 컴퓨터 통신 등을 통하여 제공되는 각종 정보나 그 내용물이라 나온다. 저자의 책에서는 온라인뿐 아니라 책, 강연이나 강의 등 고객과의 점점에서 발생하는 모든 미디어에 담는 내용물을 의미한다. 즉 콘텐츠는 파는 사람과 사는 사람을 이어주는 연결고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고객에게 유용한 콘텐츠를 제공하여 당신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찾아오게 만들고 당신의 콘텐츠나 웹사이트, 블로그에 머물게 하여 당신의 콘텐츠를 만나고 그 콘텐츠 제공자인 사람과 은밀한 관계까지 되는 것, 이것이 콘텐츠 사업의 핵심이다. 

 

*캐시 콘텐츠 

고객이 돈은 물론 디지털 화폐인 관심과 시간을 지불할 만큼 가치 있는 콘텐츠를 말한다. 캐시 콘텐츠는 구글이 요구하는 콘텐츠 수준인 전문성-권위-신뢰성을 충족한다.

 

*콘텐츠 사업

콘텐츠를 팔아 이윤을 추구하는 일을 말한다. 경험에서 추출한 지식을 특정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만들어 파는 사업이다. 이 사업은 노트북만 있다면 누구나 할 수 있는 사업이다. 

 

콘텐츠 사업은 어떤 사람이 문제를 해결하거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당신에게 조언을 듣고 싶어 할 때 이루어진다. 콘텐츠를 제공하는 플랫폼은 홈페이지보다도 무료로 제공하는 SNS가 좋다.

 

2. 경험을 평생 연금으로 만드는 콘텐츠 사업 4단계

_당신의 경험이 그 무엇이든 콘텐츠로 만들어 팔 수 있습니다

 

1단계 : 절정 경험 발굴

자신이 축척한 다양한 경험 중에서 특히 절정에 다다른 경험을 뽑아낸다. 왜 절정의 느낌을 받은 경험을 요하는 것이 그러한 경험을 했던 것이 스스로 몰입을 했고 능력 발휘를 하였기에 성취와 함께 빠르고 탁월합니다.

2단계 : 경험의 지식화 

절정을 경험한 그 일, 좋아하고 하고 싶고 잘하는 그 이을 왜 어떻게 잘했었는지 분석한다. 그런 다음 비결을 정리하여 지식으로 만든다. 

3단계 : 지식의 콘텐츠화 

이 지식이 과연 누구에게 도움이 될까요? 당신의 블로그, SNS 골수팬들이 당신의 지식과 노하우를 볼 것이다. 

4단계 : 콘텐츠의 현금화 

콘텐츠를 강연, 출판, 교육, 조언 등의 방법으로 팔게 된다. 

 

이렇게 4가지 단계를 통해 콘텐츠 사업이 된다. 콘텐츠를 활용하는 데 있어서 그릇은 제각각이지만 결국 본질은 단 하나이다.

 

3. 콘텐츠 구성하기 (4단계 해결책 제시)

오레오 공식 : 하버드대학 등 일류 대학이 학생들에게 공들여 가르치고 맥킨지 등 글로벌 컨설팅 회사에서 콘텐츠를 만들 때, 주력하는 논리적 사고와 글쓰기 기법을 하나로 정리한 것이다.  오레오 공식의 구성요소는 의견 주장하기-이유 들기-예시 들기-구체적 방법 제안하기이다. 

 

1) 문제 해결책 제시하기

고객은 무슨 내용이든 결론부터 듣고 싶어 한다. 콘텐츠의 결론이 될 만한 의견을 명료하게 주장하고 그에 합당한 이유와 근거로 증명한다. 또 사례와 세부적인 방법까지 추가한다면 주장에 힘이 실릴 것이다.

2) 해결책의 이유와 근거 들기

결론에 대한 근거를 들으면 설득되기 쉽다. 이유 없는 주장을 만나면 독자는 이해하지 못하고 계속 읽고 싶지도 않습니다. 또한 이유에 대한 근거를 보태도 제시한 의견에 설득력을 더 할 수 있다. 

3) 예시

구체적인 예를 들어야 의견을 더 빨리 수긍한다.

4) 구체적인 방법 제안

문제 해결에 대한 의견과 관련된 구체적인 방법을 제안함으로 의견에 동참한다.

 

4. 콘텐츠 사업의 치트키

콘텐츠 사업 의의 치트키는 바로, 책 출판입니다. 책을 내는 것만으로도 돈을 들이지 않고 콘텐츠를 마케팅하고 다른 판매기회까지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것이 많은 인플루언서들이 책을 출간하는 이유입니다. 책으로 담아낸 콘텐츠는 지식재산권으로 보장받을 수 있으니 책 출가니 콘텐츠 사업을 좌우한다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초보 저자들은 책을 어떻게 쓸지 기획하고 아이디어를 짜겠지만 이미 블로그에 쌓아놓은 블로그가 많은 이상 어떤 방식으로 어떻게 출간할지만 생각하면 됩니다. 

 

자비출판과 상업출판 두 가지로 볼 수 있는데, 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책 잘 만들어 잘 팔 줄 아는 전문가에게 맡기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즉 자본을 갖춘 출판사와 협업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입니다. 출판사의 투자를 끌어내고 협업하는 상업출판이 정말 가치 있는 것은 당신의 콘텐츠가 세일즈 파워를 갖췄다는 것을 증명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자비출판을 하지 말라는 것은 아닙니다. 출판의 기획부터 출판이 되는 공정에 대한 감각과 안목이 있다면 자비출판도 베스트셀러로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러한 책들도 많고 자비출판을 했다가 다시 상업출판으로 재출판되기도 합니다. 

 

 

댓글